부산시는 지난 1일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고려하는 종합평가(AHP) 결과가 0.556으로 나타나 통과 기준인 0.5를 넘겨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됐다.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총사업비 2조 4959억원을 투입해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하는 전체 사업 가운데 부산과 관련된 부분은 경남 합천군 황강 복류수와 창녕군 강변 여과수를 개발해 부산과 경남 동부에 하루 평균 물 90만t을 공급하기 위한 취수시설과 102.2㎞ 관로 건설이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시작하고, 2024년까지 기본·실시설계와 환경영향평가를 마무리한 뒤 2025년 공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하지만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부산과 경남 자치단체가 물 공동 사용 협약을 체결해야 하는데, 경남 지역이 반대 입장이어서 설득하는 데 난관이 예상된다.
이근희 시 녹색환경정책실장은 “2025년 착공 예정인 만큼 영향지역과 지원방안 마련 등을 통해 사업 추진에 차질이 없도록 전력을 다해 부산시민의 30년 숙원사업이 해결되도록 다 하겠다”고 밝혔다.
손인준기자 sonij@gnnews.co.kr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 위치도. 사진제공=부산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