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북면철강산단 갈등 고조
창원 북면철강산단 갈등 고조
  • 이은수
  • 승인 2012.05.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동리 아파트단지 주민들, 비대위 구성…강력 반발
창원시 북면 무동지구 아파트 단지 인근에 추진 중인 철강산업단지에 대한 아파트 입주 예정자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 창원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입주 예정자들은 대규모 집회를 잇따라 열어 “무동지구 에코타운 조성계획 수립은 물론 철강산단이 들어설 수 있도록 묵인한 것도 창원시인 만큼 이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거듭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창원 철강협회는 “행정 절차만 늦었을 뿐 수년전부터 추진해왔던 현안으로 절대 물러설 수 없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이에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창원시는 쟁점을 저울질하며 솔로몬의 선택을 고민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오는 16일 경남도의 지방산업단지계획 심의위원회가 열릴 예정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믿을 수 없는 행정”, 뿔난 주민들

창원시 북면 무동리 861가구 휴먼빌 단지 옆에 약 33만 ㎡ 규모 창원철강일반산업단지 조성이 추진되자 입주예정자들은 소음과 공해 등을 우려해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반대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2010년 10월 휴먼빌 아파트 분양 완료 이후 불과 석 달 뒤에 창원철강협회㈜는 ‘철강일반산업단지 개발사업 투자의향서’를 제출했다”며 시의 책임을 강조했다. 총 4500여 가구의 무동지구 에코타운 건설은 창원시장의 공약으로 내년 봄 입주를 앞둔 아파트 단지와 불과 150여m 떨어진 곳에 산단이 들어서면 공장 분진과 소음 등을 해결할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이 주장의 요지다. 특히 “절차상 철강산단 조성사업 주민설명회에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을 2차례나 배제했다”며 창원시가 함안군에 철강산단을 내주지 않기 위해 묵인한 것”아니냐며 공세를 높였다. 북면 철강산업단지 유치 반대 비상대책위원회 정종현 위원장은 “지금까지 시의 행태로 봐서 적당한 수준의 징계를 한 뒤 물타기하고 넘어가려는 의도가 아닌지 지켜볼 것”이라며 산단철회를 촉구했다.

◇경남도- 창원시 책임 떠넘기기 “공방”

북면 무동리 산 2번지 일원은 1982년부터 2011년 말까지 30여년간 채석장이 가동된 곳이다. 창원시는 여기에 48개 업체가 입주하는 철강산업단지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5월까지 산업단지 승인을 얻어 공사에 착공, 2013년 말까지 완공할 예정이었다. 이같은 내용은 작년 10월말 일부 언론을 통해 보도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2월 경남도의 지방산업단지계획 심의위원회에서 민원 발생 우려 때문에 ‘심의 유보’결정이 내려지면서 사태는 일파만파로 커졌다. 통상 110만 정도의 인구를 가진 도시는 자체 ‘심의위원회’를 두는 것이 관례이나 창원시는 광역시가 아니기 때문에 경남도가 관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산단에 대한 결정권을 누가 쥐고 있는지 논란이 일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심의위에서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사업 추진여부를 정하는 최종 결정권은 승인권자인 창원시장이 갖고 있는 만큼 창원시가 전적인 책임을 지고 현안을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창원시 관계자는 “장래의 민원을 이유로 도에서 심의 유보 결정을 했다”며 ”만약 부결 등 중요한 결정이 나오면 상급기관의 결정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16일 개최 예정인 산업단지심의위 “주목”

현재 철강산단의 공은 경남도로 넘어가 있다.

아파트와 철강산단을 둘러싸고 주민과 기업이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며 한치의 물러섬도 없는 가운데, 심의위원회가 또다시 열려 관심을 끌고 있는 것이다.

13일 창원시와 경남도에 따르면 철강산업단지 조성 계획과 관련해 오는 16일 오후 2시에 ‘경남도의 지방산업단지계획 심의위원회’가 열릴 예정이다. 심의위는 철강산단 사업계획 전반에 대한 심의를 하며, 전체 30명 위원중 과반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을 하게 된다. 결정은 크게 가결, 조건부 가결, 유보 결정, 부결 결정의 네가지를 할 수 있다. 지난번 심의위에서는 “민원이 우려된다”며 유보 결정을 내린바 있어 결정을 하기까지 진통이 따를 것으로 보이며, 결과에 따라서는 거센 후폭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창원시 한 관계자는 “철강산단 조성 예정지는 ‘에코타운’예정 구역은 아니다”면서도 “철강협회와 입주 예정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태가 장기간 지속될지, 그렇지 않고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지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창원철강협회는 2013년까지 670억 원을 들여 북면 무동리 일대 32만 2700여㎡ 부지에 금속가공·기계 및 운송장비 제조업체들이 입주하는 철강산단을 조성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경상남도 진주시 남강로 1065 경남일보사
  • 대표전화 : 055-751-1000
  • 팩스 : 055-757-1722
  • 법인명 : (주)경남일보
  • 제호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 등록번호 : 경남 가 00004
  • 등록일 : 1989-11-17
  • 발행일 : 1989-11-17
  • 발행인 : 고영진
  • 편집인 : 강동현
  • 고충처리인 : 최창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지원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남, 아02576
  • 등록일자 : 2022년 12월13일
  • 발행·편집 : 고영진
  •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경남일보 - 우리나라 최초의 지역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gnnews@gnnews.co.kr
ND소프트